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47

미국 CPI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시간별 증시 반응 2023년 1월 데이터에 기반한 미국 CPI 소비자 물가지수가 2월 14일 발표됐다. 매달 정기적으로 발표되지만 이번에 발표된 CPI 지수가 2023년 첫 달의 인플레이션 상황을 나타내는 것이라 그 의미가 깊다. 미국 동부 시간 기준으로 2023년 2월 14일 오전 9시 30분(우리나라 기준 2월 14일 밤 10시 30분)에 발표된 CPI 소비자물가지수와 발표 후 미국 증시 반응 및 향후 CPI 발표시간 등에 대해 정리해 본다. 목차 1. 미국 CPI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2. 미국 증시 반응('23.2.14.) 3. CPI 소비자물가지수 발표시간 1. 미국 CPI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인플레이션 바로미터로 쓰이는 미국 CPI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됐다. CPI는 Consumer Price Index의 약.. 2023. 2. 15.
미국 연준 기준금리 인상, 3월 FOMC 일정이 마지막? 2월 2일(목) 새벽, 미국 현지 기준으론 2월 1일(수) 오후, 미 연준의 2023년 첫 FOMC가 열렸다. 매 FOMC 때마다 결정되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 여부에 따라 전 세계 증시가 출렁이는 만큼 모든 투자자들의 초미의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다만 이번 FOMC 일정은 결론이 미리 정해진 회의였다. 연준 금리인상 폭은 0.25%p가 99.9% 확률이었고, 중요한 건 최종금리가 어느 수준까지 갈 것인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어떤 뉘앙스로 발언하는가가 회의보다 더 관심을 모았다. 이번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금리 상단은 4.75%가 됐다. 약 50일 뒤 3월 FOMC 땐 어떻게 될 것인지. 연준 미국 기준금리 인상 추이와 이번 2월 FOMC 일정 리뷰 및 3월 FOMC 프리뷰를 살펴보자. (아래 .. 2023. 2. 2.
한국은행 기준금리 3.5%, 0.25%p 또 인상 (ft. 미국 CPI 발표)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3.5%에 도달했다. 2023년 1월 13일 열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다시 한번 기준금리 인상이 결정됐다. 이번 인상폭 역시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0.25%p 올라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기존 3.25%에서 3.5%가 됐다. 작년 국내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 대비 5.0% 올랐다. 물가가 하락세에 접어들었다 여겨지지만 여전히 5%에 이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낮추기 위해서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목차 1.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 2. 미국 연준 기준금리 추이 3. 미국 CPI 발표 4. 주가지수 영향(미국, 한국) 1.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 2023년 들어 처음으로 열린 1월 13일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 0... 2023. 1. 13.
2023 미국 CPI 발표시간, PCE 지수, 연준 금리인상 인플레이션 전망 2022년부터 미 연준(Fed)의 빅 스텝, 자이언트 스텝 금리인상이 이어지고 있다. 이게 다 인플레이션 때문인데, 통상 미국 CPI 지수, 소비자물가지수가 인플레이션 척도를 나타낸다 알고 있지만 연준은 PCE 지수에 더 무게를 두고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살핀다. 미 연준이 주목하는 PCE 지수는 CPI 지수와 무슨 차이가 있는지, 인플레이션 척도로 주목받는 미국 CPI 발표시간은 언제인지, 인플레이션은 언제까지 계속될지, 그에 따른 연준 금리인상은 어디까지 이어질지, 알아보자. 목차 1. 2023 미국 CPI 발표시간 2. PCE 지수 vs CPI 지수 3. 연준 금리인상 인플레이션전망 1. 2023 미국 CPI 발표시간 미국 CPI 지수는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물가지수를.. 2023. 1. 7.
FOMC 회의 결과, 파월 연설(미국 기준금리 5% 넘는다) 2023 한국 기준금리 전망 우리 시각으로 12월 15일 새벽 4시, 2022년의 마지막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 회의 결과가 나왔다. 기준금리 인상 폭은 모두의 예상대로 빅스텝(0.5%p)으로 올해의 금리인상 일정이 모두 마무리되었다. 4시 30분부터 연준 제롬 파월 의장의 인터뷰가 이어졌는데, 파월 연설에 따르면 금리인상 기조는 여전히 끝이 요원해 보인다. 이번 FOMC 회의 결과와 파월 연설 주요 내용부터 2023년 미국 기준금리 전망, 그에 따른 한국 기준금리 전망까지 차례차례 알아보자. 목차 1. FOMC 회의 결과, 제롬 파월 연설 주요내용 2. 미국 기준금리 전망 3. 2023년 한국 기준금리 전망 1. FOMC 회의 결과 2022년의 마지막 12월 FOMC 회의 결과는 빅스텝 금리인상(0.5%p)으로 마무리되었.. 2022. 12. 15.
미국 금리인상 시기 전망, 2023 FOMC 일정, CPI 지수 발표시간 2022년 한 해 동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일정 때마다 주식시장은 격한 변동성을 보여왔다. 올해의 마지막 FOMC 일정이 도래한 이번 주도 마찬가지로 시장은 비슷하게 반응하고 있는 듯하다. 본 포스팅에서는 인플레이션과 직결되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시간부터 이어지는 FOMC 일정, 2023년 미국 금리인상 시기 및 전망까지 정리해보고자 한다. 목차 1. CPI 지수 발표시간 2. FOMC 일정 3. 2023년 미국 금리인상 시기 전망 1. CPI 지수 발표시간 매월 발표되는 미국의 CPI 소비자물가지수(전년 대비 YoY, 전월 대비 MoM)는 자국의 인플레이션 정도를 파악하는 척도로 쓰인다. 11월 CPI는 현지 기준 12월 13일(화) 08:30 (국내 시각 같은 날 22:30).. 2022. 1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