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47

한국은행 기준금리 발표일(2023년 금통위 일정), 변동 추이, 전망 목차 2023년 한국은행 기준금리 발표일(금통위 일정) 한국 기준금리 변동 추이 2023년 기준금리 전망 1. 2023년 한국은행 기준금리 발표일(금통위 일정) 한국은행은 10월 28일 보도자료를 통해 2023년 금통위 일정을 공개했다. 2023년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는 총 24회 개최될 예정이고, 이 가운데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는 8회(1, 2, 4, 5, 7, 8, 10, 11월), 금융안정회의는 4회(3, 6, 9, 12월)다.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가 열리는 날이 한국은행 기준금리 발표일이 된다. 금통위 일정에 따른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및 금융안정회의 의사록은 일부 예외 일정을 제외하고 회의일로부터 2주 경과 후 첫 화요일에 공개된다. 2022년 12월 금융안정회의 의사록은 2023년 1월 6일.. 2022. 11. 28.
한국은행 금리인상 시기, 11월 금통위 일정 (ft. 미국 기준금리) 📌 한국은행 금리인상 시기 및 2022년 향후 주요 경제 일정 ✔️ 미국 중간 선거 : 11월 8일(화) (현지 기준) ✔️ G20 정상회담 : 11월 15일(화) ~ 16일(수) 인도네시아 발리 ✔️ 한국은행 금통위 일정 : 11월 24일(목) (0.5%p 인상 유력 → 연말 한국 기준금리 3.5%) ✔️ 미국 연준 FOMC : 12월 14일(수) (현지 기준) (0.5%p 인상 유력 → 연말 미국 기준금리 4.5%) 미국 기준금리 4%대 시대가 다시 도래했다. 지난 11월 3일 목요일 새벽 3시경(우리나라 기준) 미 연준 FOMC에서 네 차례 연속으로 자이언트 스텝(0.75%p) 인상을 확정지으며 미 기준금리는 4% (3.75% ~ 4%)로 인상되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발 양적 완화 및 본격.. 2022. 11. 5.
한국 기준금리 추이, 10년 만의 3% 시대 내일(10/12) 열리는 한국은행 금통위에서 0.5%p 빅스텝 금리인상이 확실시되고 있다. 현재 2.5%인 우리나라 기준금리에 빅스텝이 더해지면 다시 기준금리 3% 시대로의 회귀다. 2012년 이후 10년 만이다. 영혼까지 끌어모은 빚으로 주식, 부동산 등의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이들을 뜻하는 영끌족들, 난리났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를 보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5%였던 금리를 2%대까지 가파르게 내려 경기 부양을 위한 저금리 정책을 펼쳤다. 이듬해인 2010년 7월부터 연달아 금리를 인상해 2011년 3월 10일부터 2012년 10월 11일까지 1년 반 가량 3%대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한 바 있다. 경기둔화, 경기침체가 우려될 땐 기준금리를 내려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경기과열, 인플.. 2022. 10. 11.
증권시장안정펀드(증안펀드) 14년 만에 재가동 - 원달러 환율 1700원? 킹달러 → 갓달러 킹(King)달러도 아니다. 이제 갓(God)달러다. 왕도 아니고 신의 지위를 넘보는 달러, 원달러환율 과연 어디까지 치솟을지? 또 1440원을 뚫었다. 1400원도 이제 옛말이다. 어제 영국 미국 국채금리 하락 덕에 오늘 외국인들이 증시에 유입되며 소폭 하락했는데,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현실적으로 환율은 연준 금리인상과 발맞추어 계속 오를 수밖에 없을 것이다. 불황마다 찾는 안전자산 기축통화 달러의 위엄이다. 한미 금리가 이미 역전되기도 했고 무역수지도 줄어드는 마당에 별다른 호재가 없다. 대내적, 대외적 요인 모두 원달러 환율이 치솟을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관세청과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올해 무역수지는 지난 4월(-25억800만달러)부터 8월(-94억7000만달러)까지 5개월.. 2022. 9. 29.
영국 국채금리 급락, 나스닥 2% 급등, 다시 양적완화? 찐반인가? 간만의 반등이다. 간밤에 다우지수는 전일 대비 548.75포인트(+1.88%) 올라 다시 3만 선에 근접했다. 나스닥은 222.13포인트(+2.05%), S&P500은 71.75포인트(+1.97%) 각각 상승했다. 애플은 아이폰 14 생산량을 감축한다는 소식에 애플 너마저.. 본격 경기 침체 - 기업 실적 악화 우려에 하락했고, 대부분의 종목들은 매크로 호재에 상승했다. 금리가 한달에 막 0.75bp씩 오르는데 주가 상승이라니? 이제 찐바닥 다 왔나? 기대감이 생길 법한데.. 실상은 좀 다르다. 영국의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이 적극적인 시장 개입으로 국채 금리를 강제로 누른 것이다. 이 소식에 영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순식간에 0.5%p 이상 급전직하했다.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도 덩달아 내리며.. 2022. 9. 29.
원달러 환율 연말 1500원? 제2의 IMF 금융위기? 어제 코스피 지수는 2,220.94로 -3.02%, 코스닥은 692.37로 -5.07% 하락 마감하며 역사적인 '블랙먼데이'를 기록했다. 환율은 1430원을 넘어섰고, 1500원 선도 가능성을 열어놔야 한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역사적으로 원달러 환율이 1500원을 넘어선 것은 딱 두 번뿐이다. 1997년 IMF 때 최고점 1965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1573원. 킹달러 위엄이 아시아 금융시장에 핵폭탄급 위협으로 다가오는 모습이다. 일본과 중국도 환율에 몸살을 앓고 있다. 엔화는 달러당 140엔을 넘어섰고, 위안화 역시 심리적 저지선이라 불리는 달러당 7위안을 넘어선 상황. 미국과 달리 여전히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고 있어 위안화 엔화 가치 하락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중.. 2022. 9.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