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45

재테크 필수품 ISA 계좌 장단점, 추천 포트폴리오 (ft. 금투세, 연금저축펀드) 2025년 중반에 접어든 지금, 재테크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만능 통장'이라불리는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모르시면 안 됩니다. 금투세(금융투자소득세) 시행 여부가 언제 다시 도마에 오를지 모르는 상황 속에, 합법적으로 절세하며 다양한 투자를 할 수 있는 ISA 계좌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ISA 계좌는 주식, ETF, 펀드 등 여러 금융상품을 하나의 계좌에서 관리하며 강력한 세제 혜택까지 누릴 수 있어 재테크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모든 금융상품이 그렇듯, ISA 계좌 역시 그 장단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자신의 투자 전략에 맞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차1. ISA 계좌, 왜 '만능 통장'이라 불릴까? (장점 심층 분석)2. 가입 전 반드시 알아야 할 ISA 계.. 2025. 6. 4.
통계청 발표 2023년 7월 소비자물가지수 동향 및 추이 우리나라 물가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2023년 7월 소비자물가지수 동향이 발표되었습니다. 전 세계 증시에 영향을 미치는 미국 기준금리 결정의 주요 기준이 되는 CPI만큼의 영향력은 아니겠지만, 국내 인플레이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써 매 익월초 통계청에서 발표하고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의 정의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 2023년 7월의 소비자물가지수 동향과 추이를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소비자물가지수란? 2. 2023년 7월 소비자물가지수 동향 3. 소비자물가지수 추이 1. 소비자물가지수란? 소비자물가지수는 가구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적인 가격변동을 측정한 지수로 매 익월초 보도자료와 통계청 홈페이지를 통해 .. 2023. 8. 2.
미국 연준 기준금리 또 인상, Fed FOMC 회의 결과 파월 의장 연설 미국 기준 2023년 5월 3일 오후 2시, 우리 기준으로 5월 4일 새벽 3시 미국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발표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Fed FOMC 회의가 열렸습니다. 지난 3월 25bp 미국 기준금리 인상 이후 열린 5월 Fed FOMC 회의 결과와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연설 내용, 미 증시 반응과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추이를 함께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5월 FOMC 회의 결과 2.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연설 3. 한국 미국 기준금리 인상 추이 1. 5월 FOMC 회의 결과 이번 5월 FOMC 회의 결과는 시장의 예상치에 그대로 부합했습니다. 4월초부터 이미 5월 FOMC 회의 시 연준 기준금리 인상폭은 25bp라 거의 스포일러였는데, 역시나 25bp 금리인상을 연준 위원 .. 2023. 5. 4.
미국 PPI 생산자물가지수 발표, 인플레이션 끝? 기준금리 인하 시기 전망 인플레이션 측정에 가장 중요한 지표인 CPI 소비자물가지수가 소비자 입장에서의 척도라면 미국 PPI 생산자물가지수는 생산자 관점에서 측정하는 물가 지표인데요. 쉽게 말하면 CPI는 짜장면 값, PPI는 밀가루 값을 본다는 말입니다. CPI와 마찬가지로 미국 고용통계국(BLS)에서 발표하는 미국 PPI 생산자물가지수 3월분 지표가 CPI 발표 다음날인 4월 13일에 발표되었는데요. 예상치보다도 더 큰 서프라이즈로 인플레이션이 꺾이는 모습이 드러났습니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 다음 수순으로 시장이 우려하는 경기 침체의 서막으로 비칠 수 있겠으나, 한편으론 당장의 고금리 기조가 꺾일 거라는, 미국 기준금리 인하 시기를 앞당길 것으로 전망하며 간밤 미 증시는 환호했습니다. 하나씩 보겠습니다. 목차 1. 미국 PP.. 2023. 4. 14.
4월 미국 CPI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호조에도 나스닥 하락 왜? ft. FOMC 회의록 우리나라 기준 4월 12일(수) 오후 9시 30분, 지난 3월의 미국 물가 동향을 측정하는 미국 CPI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되었습니다. 예상치를 하회하며 10시 반 개장 이후 나스닥 등 3대 지수 모두 상승하는 듯했으나, 결국 하락 마감했습니다. 지난 미국 CPI 발표 때마다의 패턴을 살펴보면, CPI 예상치 상회 → 인플레이션 지속, 기준금리 인상 지속 우려 → 위험자산 기피 심화 → 나스닥 하락 CPI 예상치 하회 → 인플레이션 잡혔나? 기준금리 인상 중단? → 위험자산 선호 → 나스닥 상승 이런 패턴이었는데요. 어제는 위 2번 패턴에 해당하는 지표가 나왔음에도 증시는 결국 하락 마감했다는 게 이번에는 뭐가 달랐을까 하는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힌트는 FOMC 회의록인데요. 하나씩 살펴보죠... 2023. 4. 13.
연준 금리인상 5% FOMC 회의 결과 파월 연설, 미국 기준금리 추이 미국 시각 3월 22일 오후 2시, 대한민국 기준으론 3월 23일 새벽 3시, 3월 FOMC 회의 결과로 연준 금리인상이 발표됐다. 인상 폭은 시장 예상치와 부합하는 0.25%p. 연준 금리인상으로 미국 기준금리 상단은 5%에 도달했다. 지속된 연준 금리인상 기조가 SVB 파산 사태 등으로 번지며 한때 미국 기준금리 동결 설도 잠시 돌았으나,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잡히지 않은 현 상황에서 미국 금리인상 중단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판단한 연준의 속내를 들여다보자. 목차 1. 3월 FOMC 연준 금리인상 2. 파월 연설, 옐런 의회 발언 3. 미국 기준금리 추이 1. 3월 FOMC 연준 금리인상 1) 연준 금리인상 앞서 적은 것과 같이 이번 3월 FOMC 회의 결과 연준 금리인상 폭은 지난 2월 FOMC 회의 .. 2023. 3.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