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FOMC9

2023 미국 CPI 발표시간, PCE 지수, 연준 금리인상 인플레이션 전망 2022년부터 미 연준(Fed)의 빅 스텝, 자이언트 스텝 금리인상이 이어지고 있다. 이게 다 인플레이션 때문인데, 통상 미국 CPI 지수, 소비자물가지수가 인플레이션 척도를 나타낸다 알고 있지만 연준은 PCE 지수에 더 무게를 두고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살핀다. 미 연준이 주목하는 PCE 지수는 CPI 지수와 무슨 차이가 있는지, 인플레이션 척도로 주목받는 미국 CPI 발표시간은 언제인지, 인플레이션은 언제까지 계속될지, 그에 따른 연준 금리인상은 어디까지 이어질지, 알아보자. 목차 1. 2023 미국 CPI 발표시간 2. PCE 지수 vs CPI 지수 3. 연준 금리인상 인플레이션전망 1. 2023 미국 CPI 발표시간 미국 CPI 지수는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물가지수를.. 2023. 1. 7.
한국은행 금리인상 시기, 11월 금통위 일정 (ft. 미국 기준금리) 📌 한국은행 금리인상 시기 및 2022년 향후 주요 경제 일정 ✔️ 미국 중간 선거 : 11월 8일(화) (현지 기준) ✔️ G20 정상회담 : 11월 15일(화) ~ 16일(수) 인도네시아 발리 ✔️ 한국은행 금통위 일정 : 11월 24일(목) (0.5%p 인상 유력 → 연말 한국 기준금리 3.5%) ✔️ 미국 연준 FOMC : 12월 14일(수) (현지 기준) (0.5%p 인상 유력 → 연말 미국 기준금리 4.5%) 미국 기준금리 4%대 시대가 다시 도래했다. 지난 11월 3일 목요일 새벽 3시경(우리나라 기준) 미 연준 FOMC에서 네 차례 연속으로 자이언트 스텝(0.75%p) 인상을 확정지으며 미 기준금리는 4% (3.75% ~ 4%)로 인상되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발 양적 완화 및 본격.. 2022. 11. 5.
원달러 환율 1400원 돌파, 2009년 3월 이후 처음(ft. 기준금리 인상) 원달러 환율이 다시 1400원을 돌파했다. 2022년 9월 22일 오전 9시 18분 기준으로 기준 환율은 1405원이다. 2009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발발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1400원을 넘어선 것으로, 간밤에 열린 미 연준 FOMC회의에서의 0.75bp 금리 인상 여파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 13일 소비자물가지수 서프라이즈(CPI 8.3%)로 연준이 세 번째 자이언트 스텝(0.75% 인상)을 단행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현재 기준금리는 3.00~3.25%로 2008년 1월 이후 14년여 만에 가장 높아졌다. 연말에 4.25~4.5%까지 올리겠다는 파월 의장의 발언에 따라 추가 금리인상도 예고되어 있다. 10월, 11월 두 번 남은 FOMC에서 또다시 자이언트 스텝을 밟.. 2022. 9. 22.
반응형